본문 바로가기
Secret

2024년 말~2025년 초 자금 흐름 분석: 투자자들, 안전자산으로 대피!

by CoAcH-A 2025. 2. 28.

 

 

2024년 말~2025년 초 자금 흐름 분석: 투자자들, 안전자산으로 대피!

썸네일
돈은 어디로 갔을까?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 2024년 말부터 2025년 초까지, 투자자들은 위험자산(주식, 코인)에서 발을 빼고, 안전자산(채권, 현금)으로 대피했다.
  • 미국 주식, 코인 다 빠졌고, 특히 코인은 2024년 말 잠깐 반짝했지만, 2025년 들어서면서 힘을 못 쓰고 쭉쭉 내려갔다.
  • 투자자들은 지역별, 섹터별로 돈을 뺐다 넣었다 했지만, 결국 안전빵, 현금 확보에 집중했다.

핵심은 이거다: 돈은 거짓말을 안 한다. 다들 쫄아서 안전한 곳으로 튀었다는 거다.

 

 

시장 상황: 2024년 말 ~ 2025년 초, 다 같이 쫄보 모드

2024년 말~2025년 초 시장 상황을 보여주는 그래프
2024년 말~2025년 초 시장 상황을 보여주는 그래프

2024년 중반까지만 해도, 중앙은행이 금리 내릴 거라는 기대감에 위험자산 가격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다. 2024년 9월, 미국 연준이 드디어 금리를 내리면서, 주식, 코인 다 같이 떡상했지. 근데 2024년 4분기부터 분위기가 싸해졌다.

  • 미국 대선 불확실성: 2024년 11월 5일 미국 대선 때문에 다들 눈치 보기 시작. 선거 직전 주에 글로벌 주식 펀드에서 돈이 빠져나갔다.
  • 선거 후 랠리? 잠깐 반짝: 트럼프 당선 후, 친기업 정책 기대감에 잠깐 올랐지만, 오래 못 갔다. 자산 관리자들은 이미 "너무 올랐다, 이제 떨어질 일만 남았다" 경고.
  • 2025년, 악재 터짐: 2025년 1월, 미국 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금리 인하 계속할 수 있겠어?" 의심 시작. 트럼프는 "관세 폭탄!" 외치면서, 무역 전쟁 공포까지 더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2024년 11월부터 2025년 2월까지 미국 주식, 코인은 떡락. S&P 500, 나스닥, 비트코인, 다 같이 사이좋게 하락했다. 그럼 돈은 다 어디로 갔을까?

 

 

위험자산 탈출: 주식, 코인에서 돈 빼!

여러가지 코인을 보여주는 이미지
여러가지 코인을 보여주는 이미지

  • 주식 펀드 자금 유출: 전 세계 투자자들이 주식에서 돈 뺐는데, 특히 미국 주식에서 많이 뺐다. 2025년 1월 첫 주, 미국 주식 펀드에서만 51억 달러 순유출.
  • 글로벌 주식 시장도 흔들: 미국만 그런 게 아니라, 전 세계 주식 펀드도 돈이 들어왔다 나갔다, 난리도 아니었다. 2025년 1월 마지막 주, 트럼프 관세 발표 후, 글로벌 주식 펀드에서 39억 달러 순유출. 근데 웃긴 건, 미국에서 돈이 왕창 빠져나가는 동안, 아시아랑 유럽은 오히려 돈이 들어왔다.
  • 코인 펀드 흐름: 롤러코스터: 2024년 11월, 코인 펀드에 돈이 엄청나게 쏟아져 들어왔다. 비트코인 ETF 승인 기대감 때문이었지. 근데 2025년 1분기, 시장 분위기가 안 좋아지면서, 코인 펀드에서도 돈이 빠져나가기 시작. 2025년 2월, 18주 연속 유입되던 흐름이 끊기고, 2주 동안 9억 2,400만 달러 순유출.

 

 

안전빵 추구: 돈은 어디로 갔나?

금을 나타내는 이미지
금을 나타내는 이미지

주식, 코인에서 빠져나간 돈은, 안전하고 현금화하기 쉬운 자산으로 몰렸다.

  • 채권 펀드: "올해는 채권의 해!": 2024년, 채권 펀드에 6,000억 달러 넘는 돈이 몰리면서, 기록을 세웠다. 금리가 높으니, 채권 투자 매력이 높아진 거지. 2025년에도 채권 펀드 인기는 계속됐다. 매주 150~180억 달러씩 꾸준히 들어왔다.
  • 현금, 머니마켓 펀드: 또 다른 인기 투자처는 현금, 머니마켓 펀드. 2024년, 머니마켓 펀드에 1조 달러 넘는 돈이 몰렸다. 2025년 2월 말, 머니마켓 펀드 총자산은 7조 달러에 육박.
  • 금, 원자재: 금도 인기. 2025년 2월 셋째 주, 금 ETF에 50억 달러 유입.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터졌을 때 이후 최대 규모. 금값도 3,000달러 가까이 치솟으면서, 최고 기록 경신.

 

 

투자자 행동 분석: 기관 vs 개미

기관 투자자와 개인 투자자
기관 투자자와 개인 투자자

  • 기관 투자자: 기관들은 채권 투자 비중을 늘렸다. 블랙록, 뱅가드 채권 ETF에 돈이 엄청나게 몰렸다.
  • 개인 투자자: 개인들은 주식, 코인 팔아서, 머니마켓 펀드나 은행 예금에 돈을 넣어뒀다.
  • 유동성, 시장 영향: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 몰리면서, 채권 가격은 오르고, 주식 시장은 유동성이 줄면서 변동성이 커졌다.

 

특이점

  • 2024년 말, 코인 vs 주식: 2024년 말, 코인은 잠깐 주식이랑 다른 길을 갔다. 주식 시장은 주춤했는데, 코인 펀드에는 돈이 계속 들어왔다.
  • 유럽 시장 선방: 유럽은 전쟁, 에너지 위기 때문에 위험하다고 생각했는데, 2025년 초, 오히려 유럽 시장에 돈이 몰렸다.
  • 신흥 시장: 신흥 시장 주식에서는 돈이 계속 빠져나갔지만, 신흥 시장 채권에는 돈이 들어왔다.

 

결론: 다 쫄았지만, 기회는 온다

2024년 11월부터 2025년 2월까지, 전 세계 투자자들은 위험을 피해 안전한 곳으로 대피했다. 하지만, 돈은 언젠가 다시 움직인다. 인플레이션, 금리, 무역 분쟁 상황이 좋아지면, 안전자산에 짱박아둔 돈이 다시 위험자산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문제는, "언제"냐는 거지. 지금은 다들 쫄아서 눈치만 보고 있지만, 상황이 바뀌면 언제든 다시 불나방처럼 달려들 준비가 되어있다. 그러니, 중앙은행 발표, 기업 실적, 국제 정세, 잘 살펴봐야 한다. 돈 냄새 맡고, 잽싸게 움직여야 돈 번다!

반응형

댓글